sm-stack의 개발 이야기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sm-stack의 개발 이야기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10)
    • 개발 Recording (10)
      • Python (4)
      • Django (3)
      • 백준 (0)
      • 개발환경 (1)
      • Solidity | Web3 (0)
      • CS | 개발 지식 (2)

검색 레이어

sm-stack의 개발 이야기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개발 Recording/CS | 개발 지식

  • 싱글 스레드 vs 멀티 스레드

    2023.06.16 by sm-stack

  • 서버리스(serverless)란?

    2023.06.11 by sm-stack

싱글 스레드 vs 멀티 스레드

스레드란? 프로세스가 할당받은 자원을 이용하는 실행의 단위 한 프로세스 내에서 동작되는 여러 실행 흐름으로, 프로세스 내 Heap, Data, Code 영역을 공유. 멀티 스레딩 → 스레드 간 자원을 공유 / 자원의 생성과 관리의 중복성을 최소화. 싱글 스레드 vs 멀티 스레드 싱글 스레드는 프로세스 내에서 하나의 메인스레드만으로 작업을 처리 → 작업을 차례대로 처리할 수밖에 없고, 만약 앞선 스레드의 처리 시간이 길어진다면 전체 작업 시간이 매우 길어지는 것처럼 느껴짐. 멀티 스레드를 쓰는 것이 제일 좋은가? 멀티 스레드는 CPU 활용을 최대로 끌어내기 위해 둘 이상의 스레드를 동시에 실행시킴. 그러나 이것이 완전한 병렬처리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Context Switching을 통해 각 스레드의 ..

개발 Recording/CS | 개발 지식 2023. 6. 16. 01:55

서버리스(serverless)란?

What is Serverless? AWS와 같은 클라우드 시스템에서 개발자가 서버를 관리할 필요 없이 애플리케이션을 빌드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개발 모델. 서버가 존재하긴 하지만, 추상화 되어서 클라우드 제공업체가 서버 인프라를 프로비저닝, 유지관리, 스케일링하며 개발자는 단순히 코드를 컨테이너에 패키징하기만 하면 됨. 배포되고 나면 자동으로 스케일 업되거나 스케일 다운된다. 온디맨드로 미터링되기 때문에, 서버리스 기능이 유휴 상태일 때는 아무 비용도 들지 않는다. Vercel, AWS Lambda 등과 같은 곳에서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서버리스는 단순히 클라우드 제공을 의미하는 게 아니라, 동적으로 상황에 맞춰 함수를 쪼개 처리한다던가, DB를 생성한다던가 하는 것을..

개발 Recording/CS | 개발 지식 2023. 6. 11. 16:45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sm-stack의 개발 이야기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